- 조선시대 북중면으로 율대리, 천구리, 산본리, 발산리, 장본리, 유포리, 천전리를 포함
- 1995. 1. 1일 춘천시와 춘천군 통합으로 신북읍으로 승격됨
본래 춘천을 중심으로 북쪽 중간에 위치했다하여 북중면이라 부르고, 새로 만든 북쪽의 면이라 뜻에서 붙여짐
신북읍은 춘천 기점 북쪽으로 약 8Km거리에 자리잡은 평야지대임 왼편은 춘천댐 하류인 북한강, 오른편은 소양댐 하류인 소양강과 접해 있음
-
- 발산리(鉢山里) :
- 바리처럼 생긴 작은 산이 있으므로 바리미 또는 발산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으로 장본리와 산본리를 병합하여 발산리라 하였음
-
- 산천리(山泉里) :
- 본래 춘천군 북중면 지역이며, 1914년 행정구역 폐합으로 천구리, 산본리, 발산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산본리의 「山」자와 천구리의 「泉」자를 따서 산천리라 부르게 되었음
-
- 용산리(龍山里) :
- 본래 춘천군 북내 일작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으로 유점리, 회동리, 서원리를 병합하여 용산리라 부르게 되었음
-
- 유포리(柳浦里) :
- 본래 춘천군 북중면 지역으로서 냇가에 버드나무가 많았으므로 버들냇가 유포라 했으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으로 상유포리와 문정리, 하유포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유포리라 하였음
-
- 율문리(栗文里) :
- 본래 춘천군 북중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으로 율대리, 문정리, 천구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율대리의 「율(栗)」자와 문정리의 「문(文)」자를 따서 “율문리”가 되었음
-
- 지내리(池內里) :
- 본래 춘천군 북내 일작면의 지역으로서 큰 못 안쪽이 되므로 지름물 또는 지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으로 지내상리, 지내중리, 지내하리를 병합하여 지내리라 하여 신북면에 편입
-
- 천전리(泉田里) :
- 본래 춘천군 북중면의 지역으로서 샘과 밭이 많으므로 샘밭 또는천전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으로 상천전리, 하천전리, 하유포리 일부를 병합하여 천전리라 하여 신북면에 편입
- 2002. 11. 19 : 신북읍 천전9리 1∼8반 신설 (소양강 양우내안애아파트 입주에 따른 리·반 신설)
- 춘천시 전체연혁 바로가기
페이지담당
부서명: 신북읍 행정복지센터
전화번호: 245-5278
최종수정일: 2022-05-1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