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조선시대 남산외면으로 잠추동, 가정자, 서토천, 방하곡, 소가암, 군대곡, 벌타배, 한외곡, 구중발리, 관라불을 포함함
- 1914년 행정구역 폐합으로 남산외일작면, 남산외이작면의 일부를 병합하여 남산일작면으로 개칭
- 1917년 남산외일작면, 남산외이작면의 일부를 병합하여 남면으로 개칭
- 1934년 남면과 남산면을 통합하여 남면이라고 칭함
- 1989년 발산출장소 관할구역을 남면으로, 본면 관할구역을 남산면으로 개칭
춘천군 남산 바깥지역에 위치하여 남산외면이라 함
-
- 강촌리(江村里) :
- 북한강가에 있으므로 물깨말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남산외이작면의 하방곡하리를 병합하여 강촌리라 함
-
- 광판리(光坂里) :
- 바개미 또는 박의암, 박암, 소가암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웃바개미, 벌말, 지누리를 병합하여 백암리라 하여 남산외일작면(남면)에 편입
-
- 방곡리(芳谷里) :
- 발골 또는 방곡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구만이, 노일, 덕거리, 풀뭇골, 중말을 병합하여 방곡리라 함
-
- 방하리(芳荷里) :
- 방하울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샛말, 나미섬, 무늬골, 술원이, 큰말을 병합하여 다시 방하리라 함
-
- 백양리(白楊里) :
- 긴 골짜기가 있으므로 뱅골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샛말, 도치골, 샘말을 병합하여 백양리라 함
-
- 산수리(山水里) :
- 통골이라 하였는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논꼴, 망단이, 앵골을 병합하여 통곡리라 함. 통곡리가 어감이 좋지 않고 통곡한다 등의 이미지가 연상된다는 주민의 요구에 따라 2007. 3. 2 조례 제710호에 의거하여 통곡리를 산수리(山水里)로 명칭 변경
-
- 서천리(西川里) :
- 서사천가에 있으므로 서사천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햇골, 정강말을 병합하여 서천리라 함
-
- 수동리(壽洞里) :
- 숯가마가 있었으므로 숯가마골 또는 탄부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나가지, 도치골, 와룡, 한치골을 병합하여 수동리라 함
-
- 창촌리(倉村里) :
- 남사창이 있었으므로 창말 또는 창촌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군일, 빙하밑, 보매기, 새말, 양단이를 병합하여 창촌리라 함
-
- 행촌리(杏村里) :
- 살구나무가 많으므로 행촌이라 하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흑림동, 섬배, 봉에텃골, 토목골을 병합하여 행촌리라 함
- 2007. 03. 07 : 남산면 통곡1리를 산수1리로 명칭 변경 (어감이 좋지 않은 남산면의 “통곡리”를 주민의 요구에 따라 “산수리”로 개칭)
- 2007. 03. 07 : 남산면 통곡2리를 산수2리로 명칭 변경 (어감이 좋지 않은 남산면의 “통곡리”를 주민의 요구에 따라 “산수리”로 개칭)
- 춘천시 전체연혁 바로가기
페이지담당
부서명: 남산면 행정복지센터
전화번호: 245-5449
최종수정일: 2022-07-03